공지 『칼 바르트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출간 안내

새물결플러스
2025-06-04
조회수 46

566e3de76eade.jpg


책소개


“사나 죽으나, 당신의 유일한 위로는 무엇입니까?” 1946년, 전쟁이 남긴 상처 속에서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칼 바르트는 이 질문으로 강연을 시작했다. 이는 단순한 교리를 설명하기 위해 꺼내든 질문이 아니라, 절망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던진 생존의 질문이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의 “살든지 죽든지”라는 표현은 나치에 맞선 “바르멘 선언”에서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바르트는 바로 이런 때를 위해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을 다시 읽었다. 400년을 뛰어넘어 같은 언어로 증언된 믿음의 연속성, 이것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울림은 결코 작지 않다.


지금 우리는 여전히 불안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일자리 불안정, 경제적 불확실성, 관계의 파괴, 미래에 대한 두려움 등 16세기 종교개혁 시대 직후 닥친 혼란이나 20세기 전쟁이 남긴 참혹함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실존적 위기 앞에 서 있다. “신조”와 “신앙고백”을 전공하여 굽이치고 요동치는 세상을 향해 교회가 시대마다 어떤 신앙을 고백하였는지를 신학사적으로 고찰하여 미래를 향한 선교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김산덕 목사는 이 점에 주목하여, 현시대에 고뇌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칼 바르트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을 우리말로 옮겼다.


20세기를 대표하는 개신교 신학자인 칼 바르트는 16세기 신앙고백의 각 문항을 역사적·신학적으로 섬세하게 풀어낸다.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로마서의 흐름을 따라 인간의 구원 여정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부는 인간의 비참과 회개, 제2부는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과 믿음, 제3부는 구원에 대한 감사와 실천을 다룬다. 이 구조는 비참에서 해방으로, 해방에서 감사로 나아가는 구속사의 길을 보여주며, 이는 여타 교리문답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이다. 또한 이 글은 한 인간이 믿음으로 구원받아 영생으로 나아가는 간증과도 같은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신앙고백은 마치 한 사람의 “영적 전기”와도 같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처럼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신학 내용의 객관적 기술이라기보다는 실제로 믿음 생활을 하는 주체자의 입장에서, 즉 속죄의 은혜를 경험한 사람이 자신의 실천적 신앙 내용을 써 내려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이 책을 통해 교리 이상의 것을 만나게 된다. 그것은 곧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만남이며, 믿음의 삶 속에서 경험되는 참된 위로다.


칼 바르트는 이 신앙문답의 핵심을 하나님의 말씀의 우선성, 교회와 그 맥락,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공적 증언, 윤리로 요약했다. 그는 신학을 단절된 지식이 아닌, 말씀 중심의 유기적 체계로 이해하며, 교회와 사회, 역사라는 실제 삶의 장에서 복음의 진리를 살아내는 데 주목함으로써, 이 책을 통해 인생의 근본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 불안한 시대를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인 위로, 복음의 본질에 대한 새롭고도 깊이 있는 통찰, 신앙과 삶이 하나로 통합되는 구체적 체험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복잡한 신학 이론이 아닌 복음의 핵심, 곧 한 인격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께 이르게 된다.


본서는 단순한 교리 해설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신앙과 지식, 이성과 삶이 하나 되는 영적 여정을 체험하고 싶은 사람, 신학을 배우는 이들뿐 아니라 인생의 방향을 찾는 이들, 믿음을 다시 점검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위로와 소망, 새로운 만남의 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6세기 개혁신학이 20세기의 불안한 역사와 어떻게 소통하는지를 보면서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에 대한 빛을 찾는 사람에게는 바로 지금이 이 책을 펼칠 때다.


 

지은이 소개

 

지은이 | 칼 바르트 (Karl Barth)

칼 바르트(1886-1968)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 중심의 자유주의 신학에 도전하며 하나님의 초월성과 인간의 죄성을 강조하는 “하나님 말씀의 신학”을 전개했다. 일반적으로는 “신정통주의”(또는 위기 신학, 변증법적 신학)로 불리지만, 본인은 이 신학을 그렇게 부르지 않았다. 그는 제네바와 자펜빌에서 목회 사역을 마치고, 괴팅겐 대학교(1922)에서 교의학 강의를 시작하기 전, 루터·칼뱅·츠빙글리 등 종교개혁자들과 신앙고백서, 신앙문답서를 주제로 강의하며 그 신학적 중요성을 재조명했다. 그는 1937-38년 아버딘 대학교 기포드 강연에서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종교개혁의 교설에 따른 하나님 인식과 예배”를 주제로 강의하였으며, 이후 제네바 신앙고백(1946)과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1948)에 대한 강해로 이어갔다.

 

옮긴이 | 김산덕

현재 일본그리스도교회(CCJ) 토치기 교회 담임목사 (Aberdeen Uni. PhD)로 섬기며, 신조·신앙고백·신앙

문답을 통한 교회의 정체성 형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일본 교단의 「대동아공영권의 기독교인들에게 보내는 서한」과 독일 「바르멘 선언」 연구를 바탕으로 일본 선교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왔다. 『고백하는 교회를 세워라』(CLC), 『프로테스탄트 스콜라주의 재고찰』(新敎出版社), 『천황제와 일본 개신교』(새물결플러스) 등의 저서가 있으며, Samuel Rutherford: An Introduction to His Theology(Scottish Reformation Society)에 수록된 논문이 있다. 『교회 개혁』 등 다수의 번역서를 통해 역사신학과 선교적 통찰을 연결하는 독창적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차례

 

서문

역자의 글

일러두기

제1장 과제

제2장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제3장 유일한 위로•제1-2문

제4장 하나님의 고발•제3-9문

제5장 하나님의 심판•제10-11문

제6장 하나님의 의•제12-18문

제7장 하나님의 의의 계시•제19-23문

제8장 유일하신 참 하나님•제24-25문

제9장 하나님과 세상과 인간•제26-28문

제10장 예수님과 그 형제들•제29-34문

제11장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정상성•제35-44문

제12장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의 정상성•제45-49문

제13장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제50-52문

제14장 하나님은 영이시다•제53-58문

제15장 하나님의 의와 믿음•제59-64문

제16장 세례와 성찬에서의 하나님의 의•제65-68문

제17장 세례의 증표로 믿음의 기초 세우기•제69-74문

제18장 성찬의 증표로서의 믿음의 갱신•제75-80문

제19장 공동체의 정결•제81-85문

제20장 순종으로서의 믿음•제86-93문

제21장 하나님 앞에서의 사람•제94-103문

제22장 그 이웃과 함께하는 사람•제104-112문

제23장 계명의 능력•제113-115문

제24장 기도의 신비•제116-119문

제25장 기도하는 자유•제120-121문

제26장 하나님의 일을 위한 기도•제122-124문

제27장 사람의 일을 위한 기도•제125-127문

제28장 기도를 들어주심•제128-129문

나가면서

 


본문 중에서

 

우리의 지식은 단편적이며, 여기에 있는 이 책도 (미완성의) 스케치다. 이 작업을 내가 요청받았을 때 전년도에 동일한 조건하에 출판된 『교의학 개요』(Dogmatik Grundriß, 1947)가 환영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대상은 동일하지만 소재가 되는 텍스트가 다르기 때문에 그 성격이 다른 논술을 행하는 것도 여러 점에서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본문에 대해 각 섹션의 머리말에 기술한 ‘가이드 요약’(Leitsatze)에 관한 책임은 온전히 나에게 있다. 이 책은 속기한 내용을 다듬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생각건대 더할 나위없이 내가 자유롭게 설명했던 내용들이 담겨 있다.

_“서문” 중에서

 

본서는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을 텍스트로 하여 칼 바르트라는 신학자가 그리스도교 교리를 강의한 것이다.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에 대한 바르트 본인의 해설서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칼 바르트 신학에 관심을 가지고 그 내용을 이해하려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바르트 입문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아세례’, ‘성경론’ 또는 ‘보편 구원론’ 같은 주제에 관해 그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주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바르트는 자유주의 신학자인가 아닌가?”라는 이분법적 문제는 차치하고, 그를 가능한 한 바르게 이해하려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기도 하다. 그는 명확하게 다음과 같이 경고한다.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신학을 화석화시킨 그것의 ‘정통주의’에 빠져서는 곤란하다고 말이다. 16세기 종교개혁의 영혼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그의 조언을 상기하면서 이 책을 읽어가면 좋겠다.

_“역자의 글” 중에서

 

그리스도교 교리란 무엇입니까? 그것은 교회가 선포하는 선교의 내용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교회가 책임지고 총괄적으로 서술하려는 시도입니다. 그 출발과 목적은 어디까지나 성경 안에서의 복음에 대한 확실한 증언입니다. 우리는 복음주의 교회의 선조들이 남겨둔 신앙고백에 대해 품어야만 하는 자유로운 존경과 감사를 가지고,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의 인도에 따라서 나아가고자 합니다.

_제1장 “과제” 중에서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그리스도 예배 질서와 규칙에 관하여 교리 형식으로 정리하여 작성된 것으로, 16세기 개혁파 교회가 종교개혁의 적극적인 방향을 제시하며, 복음에 대한 그들의 인식 형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성립되었습니다.

_제2장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중에서

 

하나님의 정상성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시는 자유로운 은혜의 영광 가운데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드림으로써 그 정상성을 관철하셨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 유일하신 분 안에서 죄의 저주와 형벌과 파멸을 몸소 담당하시고, 이전에 죄로 전도되었던 인간을 죽이시고 장사하셨으며, 하나님의 기쁨이 되어 모든 피조물의 목표가 되는 새로운 순종적인 사람을 보여주셨음을 의미합니다.

_제11장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정상성” 중에서

 

오로지 유일하신 참 하나님은 성부 하나님으로 창조주이고, 성자 하나님으로 구세주며, 동시에 성령 하나님으로 영원하고 전능하며 자비하심이 깊으신 분입니다. 성령 하나님은 사람을 초월하여 역사하시고, 사람 위에 역사하실 뿐만 아니라 믿음으로 예수 그리스도께 속하는 사람들 가운데 생명을 창조하시며 역사하십니다. 다시 말해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공동체로 결집되어 공동체의 은사와 사명에 참여하고, 그분의 죽음의 능력 안에서 죄인의 두려움이 사라지며, 그분의 부활의 능력으로 기쁨이 가득한 자가 되어, 이 시간적 생명 가운데 살아가면서도 영원한 생명을 향해 걸어갈 수 있는 그런 사람 가운데 성령 하나님은 역사하십니다.

_제14장 “하나님은 영이시다” 중에서

 

역자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이 아니라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이라고 번역했다. 앞서 설명했듯이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한 신앙인의 실제적인 신앙 전기와 같다. 교회의 언어와 말은 영혼에 대한 살아 있는 배려다. 그런 교회의 말과 언어에 의해 비참으로부터 구원이 생성되는 경험을 하고 그것을 증언한다. 이러한 증언적 언어와 말은 교리를 설명하는 말이 아니라 위로의 말이자 힘 있는 생명의 말이다. 말씀으로 태어나는 하나님 백성의 말은 신앙의 말이며 그 자체가 교회적 필연성을 가지는 삶의 규칙이 된다. 따라서 “교리문답” 대신 “신앙문답”으로 번역하였다.

_“나가면서” 중에서

 


추천하는 글

 

신학의 거장들은 의외로 짧은 글에서 진면목을 드러내곤 한다. 바르트 역시 방대한 『교회교의학』 못지않게, 전통적 신앙고백을 해설한 단편에서 깊은 신학적 통찰을 보여준다. 바르트 신학의 뿌리와 진가는 개혁주의의 대표 신앙고백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에 대한 해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특히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이 출간된 1948년은 그의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 방법론이 무르익은 때인 만큼, 이 책은 바르트 신학의 정수를 담은 훌륭한 입문서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층적 매력과 신학적 깊이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독자의 필요에 다양한 방식으로 응답해줄 수 있는 귀한 책이다.

김진혁ㅣ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부교수

 

교회사에서 1517년에 종교개혁이 일어났고, 이로부터 얼마되지 않은 16세기 중엽에 작성된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총 129개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개혁신학의 핵심을 명쾌하게 보여준다. 약 400여 년이 흐른 후 현대 최고의 신학자이며 또한 개혁신학자인 칼 바르트가 이것을 바탕으로 강의하고 해설하여 출판하였고, 이번에 일본에서 활동하시는 김산덕 목사님을 통해 번역되어 『칼 바르트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로 우리의 손에 주어졌다. 본서를 통해 우리는 개혁신학이 말하는 복음의 진수를 명쾌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6세기 개혁신학이 어떻게 20세기와 만나 소통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백충현ㅣ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Heidelberger Katechismus, 1563)은 『네덜란드 신앙고백서』(Confessio Belgica, 1561), 『도르트 신조』(Dordtse Leerregels, 1619)와 더불어 개혁교회의 삼대 교리서 가운데 하나다. 이 아름다운 교리문답서의 신앙과 신학을 다루고 있는 귀한 저서가 역자의 노고로 인하여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다. 우리가 살아 있을 때나 죽을 때 유일하고 영원한 위로가 되는 지식을 가르치는 이 교리문답서가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독자들이 이 험난하고 부조리한 세상 속에서 참다운 위로와 믿음의 확신 가운데 거하고, 하나님의 자녀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으며 아름다운 생애를 살아갈 수 있기를 두 손 모아 기도한다.

이동영ㅣ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