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과 골방』은 2020년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고통으로 몰아넣은 지난 1년 동안 일어났던 주요 사건들을 공공신학의 입장에서 숙고한 결과물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영광을 잃어버리는 과정을 두 흐름으로 복기합니다. 첫째, 한국교회는 광장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했고, 둘째 한국교회에서 영광이 떠난 것은 골방에서의 은밀한 기도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광장과 골방, 이 둘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역사가의 통찰과 신학자의 진지함, 그리고 목회자의 뜨거운 마음을 가지고 장동민 교수님께서 기도의 골방에서 씨름하고 고민했던 공적 주제들을 저자강연을 통해 나눕니다. 코로나19가 쓸고 지나간 한국교회와 이 땅의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이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지 숙고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강사소개
장동민(백석대학교 교목부총장)
서울대학교 철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고,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석사(Th.M.)와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남부전원교회와 백석대학교회(서울) 담임목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백석대학교 교목부총장으로 학원 복음화의 일선에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박형룡의 신학연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신학의 심포니』(이레서원), 『박형룡』(살림), 『대화로 풀어본 한국교회사 1, 2』(부흥과개혁사), 『예연』, 『구약의 기도』(이상 UCN), 『우리 시대를 위한 십계명』(대서),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 기독교』(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 관련도서 소개
코로나19가 쓸고 지나간 자리는 처참하다. 지금 한국교회는 마치 큰물에 휩쓸린 가난한 집안의 가재도구들처럼 찌그러지고 흙투성이가 된 채 땡볕에 널브러져 있다. 그 누추함과 지린내에 보는 이들이 숨을 참으며 외면한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서 복구를 시작해야 할까? 복구가 가능하기는 할까? 힘없는 눈으로 망연자실 한숨만 내쉴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한국교회가 영광을 잃어버리는 과정을 두 흐름으로 복기(復碁)해본다. 첫째, 한국교회는 광장(廣場)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했다. 학자들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공공성을 상실했고, 저자의 언어로는 우는 자들과 함께 울지 못했다. 본래 기독교는 광장의 종교다. 온갖 이념과 철학과 종교와 세계관이 전쟁을 벌이고 있는 광장으로 나와서, 이들을 무장해제시키고, 가면을 벗기고, 그리스도의 발 앞에 무릎 꿇리는 것이 기독교다. 그러나 교회는 한 세대 이상 반공주의·시장 경제·국가주의와 영합하여 체제의 일부가 되었다. 체제의 주류 편에 서서 재물과 권력이 주는 달콤함에 안주했을 뿐, 그 체제의 뒷골목에서 소외된 이들을 위로하거나 자비를 베풀거나 정의를 되찾아주지 않았다. 시대의 과제를 외면한 기독교는 시대로부터 외면당한다.(중략)
1. 강의개요
『광장과 골방』은 2020년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고통으로 몰아넣은 지난 1년 동안 일어났던 주요 사건들을 공공신학의 입장에서 숙고한 결과물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영광을 잃어버리는 과정을 두 흐름으로 복기합니다. 첫째, 한국교회는 광장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했고, 둘째 한국교회에서 영광이 떠난 것은 골방에서의 은밀한 기도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광장과 골방, 이 둘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역사가의 통찰과 신학자의 진지함, 그리고 목회자의 뜨거운 마음을 가지고 장동민 교수님께서 기도의 골방에서 씨름하고 고민했던 공적 주제들을 저자강연을 통해 나눕니다. 코로나19가 쓸고 지나간 한국교회와 이 땅의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이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지 숙고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강사소개
장동민(백석대학교 교목부총장)
서울대학교 철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고,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석사(Th.M.)와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남부전원교회와 백석대학교회(서울) 담임목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백석대학교 교목부총장으로 학원 복음화의 일선에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박형룡의 신학연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신학의 심포니』(이레서원), 『박형룡』(살림), 『대화로 풀어본 한국교회사 1, 2』(부흥과개혁사), 『예연』, 『구약의 기도』(이상 UCN), 『우리 시대를 위한 십계명』(대서),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 기독교』(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 관련도서 소개
코로나19가 쓸고 지나간 자리는 처참하다. 지금 한국교회는 마치 큰물에 휩쓸린 가난한 집안의 가재도구들처럼 찌그러지고 흙투성이가 된 채 땡볕에 널브러져 있다. 그 누추함과 지린내에 보는 이들이 숨을 참으며 외면한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서 복구를 시작해야 할까? 복구가 가능하기는 할까? 힘없는 눈으로 망연자실 한숨만 내쉴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한국교회가 영광을 잃어버리는 과정을 두 흐름으로 복기(復碁)해본다. 첫째, 한국교회는 광장(廣場)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했다. 학자들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공공성을 상실했고, 저자의 언어로는 우는 자들과 함께 울지 못했다. 본래 기독교는 광장의 종교다. 온갖 이념과 철학과 종교와 세계관이 전쟁을 벌이고 있는 광장으로 나와서, 이들을 무장해제시키고, 가면을 벗기고, 그리스도의 발 앞에 무릎 꿇리는 것이 기독교다. 그러나 교회는 한 세대 이상 반공주의·시장 경제·국가주의와 영합하여 체제의 일부가 되었다. 체제의 주류 편에 서서 재물과 권력이 주는 달콤함에 안주했을 뿐, 그 체제의 뒷골목에서 소외된 이들을 위로하거나 자비를 베풀거나 정의를 되찾아주지 않았다. 시대의 과제를 외면한 기독교는 시대로부터 외면당한다.(중략)
2.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