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서 중 하나인 사사기는 역사적으로 왕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사들이 다스리던 시대로 반복된 타락과 구원의 패턴으로 인해 매우 부정적이고 암울한 책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사시대는 하나님께서 꿈꾸셨던 이상적인 나라에 대한 실험적인 사회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현재 우리 사회에 매우 필요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는 문학적 방법론을 기초로 본문 해석과 본문에서 나타나는 이슈들에 대한 최신 학자들의 견해를 반영하여 사사기를 소개합니다.
강 사ㅣ
박유미
이화여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대원(M.Div)을 졸업한 후 총신대 신학과에서 구약학으로 석사, 박사를 모두 마쳤다. 전공은 사사기로 논문 제목은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사사기 4-5장의 통일성과 인물연구”이며 저서로는 『이스라엘의 어머니 드보라』와 『성경요절 원어로 읽기』가 있고 현재 묵상과 설교의 집필자로 활동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전공인 사사기와 함께 룻기-에스더, 에스라-느헤미야, 사무엘서에 대한 본문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고 있으며 강의도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연구하고 있는 것은 구약에 나타난 여성들에 대한 것으로 사무엘서에서 나타난 여성 지혜자에 대한 것과 구약에서 나타난 강간당한 여성들에 대한 것 등 여성 문제에 대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강의내용ㅣ
- 1강-1. 사사기 서론과 구조
- 1강-2. 내러티브 해석 방법론
- 2강-1. 사사기의 사회적 정황과 문학적 패턴
- 2강-2. 웃니엘과 에훗
- 3강-1. 드보라 이야기(4-5장)
- 3강-2. 이스라엘을 지키는 어머니
- 4강-1. 기드온 사사 이야기(6-9장)
- 4강-2. 여호와의 전쟁에 인간의 이름이 개입될 때
- 5강-1. 입다와 그의 딸 이야기(10-12장)
- 5강-2. 이스라엘의 승리와 딸의 죽음
- 6강. 나실인 삼손의 탄생과 사역
- 7강. 삼손의 최후와 미가 이야기
- 8강-1. 레위인의 첩 이야기(19-21장)
- 8강-2. 이스라엘의 영적 상황과 여성의 지위
역사서 중 하나인 사사기는 역사적으로 왕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사들이 다스리던 시대로 반복된 타락과 구원의 패턴으로 인해 매우 부정적이고 암울한 책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사시대는 하나님께서 꿈꾸셨던 이상적인 나라에 대한 실험적인 사회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현재 우리 사회에 매우 필요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는 문학적 방법론을 기초로 본문 해석과 본문에서 나타나는 이슈들에 대한 최신 학자들의 견해를 반영하여 사사기를 소개합니다.
강 사ㅣ
박유미
이화여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대원(M.Div)을 졸업한 후 총신대 신학과에서 구약학으로 석사, 박사를 모두 마쳤다. 전공은 사사기로 논문 제목은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사사기 4-5장의 통일성과 인물연구”이며 저서로는 『이스라엘의 어머니 드보라』와 『성경요절 원어로 읽기』가 있고 현재 묵상과 설교의 집필자로 활동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전공인 사사기와 함께 룻기-에스더, 에스라-느헤미야, 사무엘서에 대한 본문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고 있으며 강의도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연구하고 있는 것은 구약에 나타난 여성들에 대한 것으로 사무엘서에서 나타난 여성 지혜자에 대한 것과 구약에서 나타난 강간당한 여성들에 대한 것 등 여성 문제에 대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강의내용ㅣ
- 1강-1. 사사기 서론과 구조
- 1강-2. 내러티브 해석 방법론
- 2강-1. 사사기의 사회적 정황과 문학적 패턴
- 2강-2. 웃니엘과 에훗
- 3강-1. 드보라 이야기(4-5장)
- 3강-2. 이스라엘을 지키는 어머니
- 4강-1. 기드온 사사 이야기(6-9장)
- 4강-2. 여호와의 전쟁에 인간의 이름이 개입될 때
- 5강-1. 입다와 그의 딸 이야기(10-12장)
- 5강-2. 이스라엘의 승리와 딸의 죽음
- 6강. 나실인 삼손의 탄생과 사역
- 7강. 삼손의 최후와 미가 이야기
- 8강-1. 레위인의 첩 이야기(19-21장)
- 8강-2. 이스라엘의 영적 상황과 여성의 지위